본문 바로가기
News Criticism/Society

청소년 마약 문제 이대로 두어도 될까? 좀비 마약 펜타닐

by Editor hyehye 2024. 2. 23.
반응형
반응형

국내 청소년 덮친 '좀비 마약' 0.002g에도 사망에 이를 수 있으니

 

한국도 '좀비 마약' 펜타닐에 노출됐다. 2022년 미국에서 매일 약 220명을 죽음으로 몰고 간 마약성 진통제 오피오이드계 펜타닐이 국내 청소년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당국은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온라인으로 열린 제55회 국민생활과학기술포럼에서 국내 마약 관련 전문가들은 "한국도 펜타닐의 위협에서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지난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플로리다주 등지에서 몸을 가누지 못한 채 비틀거리며 돌아다니거나 바닥에 널부러져있는 마약 중독자들의 모습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타고 퍼졌다. 이들이 오피오이드계(아편계) 펜타닐에 중독된 것으로 알려지며 펜타닐에 '좀비 마약'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사진: Unsplash 의 NEOM

 

정희선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초대원장에 따르면 펜타닐은 제약회사가 합법적으로 생산해 의사의 처방에 의해 암 환자 등에 투여하는 '합법 펜타닐'공장에서 불법 제조돼 마약 카르텔과 얽혀 유통되는 '불법 펜타닐'로 나뉜다. 정 초대원장은 "문제는 가짜 약으로 위장해 유통되는 불법 펜타닐"이라고 말했다.

2013년부터 중국산 불법 펜타닐(nonpharnaceutical fentanyl)이 미국으로 유입됐다.
불법 유통책과 얽히면서 일반 국민에게 대규모로 퍼졌다. 1회 용량에 단 1달러 정도로 가격이 저렴한데다 한 번 생산 설비만 설치해도 24시간 생산할 수 있다.
더 많이, 더 자주 마약을 복용할 수 있기 때문에 중독성도 높다.
분말 또는 액체 형태로 코카인, 필로폰, 헤로인 등 불법 약물과 합성해 만든다. 알약, 패치, 주사제 형태로 유통되며 단 0.002g(2mg)만 섭취해도 사망에 이를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다. 비슷한 양으로 따질 때 펜타닐의 독성은 코카인보다 250~500배, 메스암페타민·모르핀보다 100배, 헤로인보다 15~50배 세다.
펜타닐은 물질이 기름에 용해되는 성질인 지용성이 높아 빠른 속도로 혈액을 지나 뇌 장벽을 뚫고 중추신경계에 효과를 준다. 그 결과 심각한 호흡 억제가 발생하고 흉벽 근육이 경직된다.

김영주 식약처 마약정책과 과장에 따르면 국내에서 펜타닐 패치가 최초로 허가된 건 1994년이다. 이후 펜타닐의 연도별 처방량과 처방환자 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2020년엔 약 180만 명, 2022년엔 195만 명이었다. 아직 정확한 집계는 나오지 않았지만 지난해엔 200만 명 이상이 펜타닐을 처방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중고등학생을 위주로 펜타닐 불법 거래가 이뤄지고 있어 우려가 크다. 허리 통증 등을 이유로 의사에게 펜타닐을 처방받은 뒤 이를 친구들과 나눠갖거나 온라인을 통해 파는 행위가 적발됐다. 2021년엔 경남 지역 고교생들이 병의원을 돌며 펜타닐 패치를 처방받아 다른 10대 수십명에게 판매하거나 직접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다.

당시 수사를 맡았던 김대규 경남 마약수사대 경정은 이번 포럼에 참석해 "당시 검거됐던 청소년들은 펜타닐이 마약인 줄도 모르는 상태였다"며 "전문가인 의사가 처방하는 전문의약품 정도로, 감기약처럼 먹다 끊으면 될 거라고 쉽게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소년 대상 마약 예방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식약처는 약 6년에 걸쳐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마통)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마약류를 다루는 제조 수입사, 병의원, 약국에 마약류 판매에 관한 모든 정보를 입력하도록 했다. 김 과장은 "연간 1억 3000만 건의 빅데이터가 쌓였다"고 말했다. 빅데이터를 통해 주요 감시 대상인 펜타닐을 집중 감시하고 병원 현장 조사를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이전에도 마약과 관련된 포스팅을 한 번 다룬 적이 있었다.
당시에는 캔디라 불리는 마약으로, 이때도 충격을 받았었는데 펜타닐이라니...

2023.11.15 - [News Criticism/Society] - 캔디 마약 힘센여자 강남순 드라마 현실이 될까?


마약이라는 것에 무서움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지난해 초 타일러 샌더스가 펜타닐에 중독돼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도 사실 놀랐었는데, 최근에는 유튜브 전 CEO 수전 위치츠키의 아들인 마르코 트로퍼도 펜타닐 중독으로 숨진 채 발견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10대 청소년과 청년층 사이에 마약 중독이 증가하고 있는데다 2021년 기준 미국의 18~49세 사망 원인 1위가 펜타닐이라고 하니 이것의 위험성에 대해 제대로 알아야할 것 같다. 감기약처럼 먹다 끊으면 될 거라니, 그건 정말 약에 대한 위험성을 모르는 이야기다. 의료용 마약류가 아닌 스테로이드도 한 번 끊을 때 정말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중독성이 강한 약품은 아예 손을 대지도 않는 것이 좋다.
의사 처방이 아닌 약, 불법에 손을 대지 않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출처 :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215084800914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