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Criticism/Economy

2030 목돈마련 디딤돌저축보험 vs 청년도약계좌 비교

by Editor hyehye 2023. 11. 24.
반응형

5년동안 5천만원 목돈 마련하는 두 가지 방법

 

사진: Unsplash 의 Oli Dale

 

우선 모든 내용을 읽기에는 시간이 부족한 사람들을 위해 한화생명 2030 목돈마련 디딤돌저축보험과 정부에서 시행하는 청년도약계좌를 바로 비교해서 볼 수 있는 표를 작성해보았으니 이 표부터 확인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구분 2030 목돈마련 디딤돌 저축보험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 만 19세 ~ 39세 만 19세 ~ 만 34세
가입 조건 직전 과세 기간 기준 총 급여액 7,0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000만 원 이하 (단, 총 급여액 7,000만 원 이하) 직전 과세 기간 기준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단,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이며 가구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금리 5% (고정이율, 연 복리) 기존 4.5%
- 요건 충족 시 최대 6.0% (총 급여 2,400만원 이하만 가능)
- 3년 고정 후 2년 변동 (단리), 금융기관별 상이
최대 납입 금액 및 만기액 최대 월 보험료 75만 원(기본 50만 원+추가납입 25만 원) 납입 및 결혼·출산 보너스 최대 2%를 더하면 5년간 약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 총 급여기준 2,400만 원 이하인자가 최대 월 70만원 납부정부기여금+이자를 더해 5년간 총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

 

청년희망적금은 가입 후 곧 만기가 다가올 예정이지만, 연이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지 않은 여러 가지 이유는 아래 포스팅에 작성해두었으니 참고하여 읽으면 좋을 것 같아요.

청년도약계좌, 희망적금만기 후 넘어가지 못하는 이유

 

이전 포스팅에서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았으니, 오늘 포스팅에서는 한화생명 2030 목돈마련 디딤돌저축보험 무배당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곧 이사를, 희망적금 만기를 앞두고 있어 목돈을 모을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해 고민이 깊은 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

 

사진: Unsplash 의 Colin Watts

 

기본 정보
  • 보험상품명 : 한화생명 2030 목돈마련 디딤돌저축보험 무배당
  • 계약자, 피보험자가 동일한 경우에만 계약 가능 (피보험자의 정의 : 생명보험에서 보험사고 발생의 대상이 되는 사람)
  • 가입 연령 : 만 19세 ~ 만 39세
  • 소득 기준 :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7,0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000만 원 이하일 경우
    - 국세청 홈택스 어플이나 사이트에 접속하여 소득확인증명서(청년도약계좌 가입 및 과세특례 신청용)를 준비 및 제출
    - 해당 서류 이외의 소득확인증명서는 증빙서류로 인정되지 않음
  • 보험기간 : 5년 만기
  • 보험료 납입기간 : 5년납
  • 보험료 납입주기 : 월납
  • 기본 보험료 : 매월 10만원 이상 50만원 이하
  • 해약환급금 예시 (기준: 30세 남자, 5년만기, 5년납, 월납, 기본보험료 50만원)
경과 기간 납입 보험료(단위: 원) 해약환급금(원) 환급률(%)
3개월 1,500,000 1,510,025 100.6
6개월 3,000,000 3,030,183 101.0
9개월 4,500,000 4,555,594 101.2
1년 6,000,000 6,083,728 101.3
2년 12,000,000 12,299,321 102.4
3년 18,000,000 18,778,885 104.3
4년 24,000,000 25,582,415 106.5
5년 30,000,000 32,726,109 109.0

 

상품 특징
  • 100% 원금 보장과 확정금리 5%로 목돈 마련
    : 연 5% 확정금리로 이자를 지급하는 상품으로 최대 50만원까지 가입이 가능하고, 한 달만 유지해도 100% 이상 환급

  • 결혼과 자녀 출산에 최대 2% 보너스 지급
    : 확정급리 5%와는 별도로 보험기간 중 결혼 및 출산 조건을 충족하고 만기시점까지 유지할 경우 충족된 조건에 해당하는 보너스 금액을 만기보험금에 가산하여 지급. 보너스 금액은 만기시점 이미 납입한 보험료(중도인출하였을 경우 이를 차감한 금액)에 조건별 보너스의 합을 곱한 금액으로 결혼시 0.5%, 자녀 1인 출산 시 0.5%, 다자녀 출산 시 1.0% 최대 2.0% 보너스를 지급
    - 결혼 : '혼인관계증명서' 제출
    - 자녀 1인 출사 : '가족관계증명서' 제출
    - 다자녀 출산 : 보험기간 중 자녀 1인을 출산하고 추가로 자녀 1인 이상을 출산할 경우로 '가족관계증명서' 제출
    - 해당 조건 충족시 만기보험금 수령 전까지 결혼·출산 보너스를 신청해야하며, 만기 시점의 조건별 해당금액을 보너스로 지급

  • 장애인, 차상위 다문화가정, 저소득 한부모가정일 경우 기본보험료의 1%를 할인 (월 최대 5,000원)
    - 한화생명에서 기본보험료 1% 상생 할인을 제공. 조건이 부합할 경우, 관련 서류 증빙

  • 다이렉트 보험에서 디딤돌저축보험을 가입한 이후 추가납입을 통해 만기 환급률을 높일 수 있음. 추가 납입은 기본보험료(50만 원)의 최대 50%(25만 원)까지 납입이 가능하고, 한화생명 고객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

 

보장 내용
  • 이 상품은 은행 적금과 유사하지만, '저축보험' 보험에 속하는 상품으로, 보험이 끝나는 시점에 가입자가 냈던 보험료보다 더 많은 금액을 돌려주는 보험을 말함
  • 월 금액을 내는 것은 동일하지만, 여기에 '보험'의 성격을 더해 재해로 인한 사망 등을 추가로 보장하는 기능이 더해짐
  • 만기보험금(보험기간이 끝날 때까지 피보험자가 살아있을 경우)
    : 계약자 적립액 (이 보험의 산출방법서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계산한 금액)
    - 납입한 보험료의 100.1%를 최저보증
  • 사망보험금(보험기간 중 피보험자가 사망한 경우)
    : 지급사유발생시점의 계약자 적립액 + 기본보험료의 1배
  • 재해장해급여금(보험기간 중 피보험자에게 재해가 발생하고, 그 재해를 직접적인 원인으로 피보험자가 장해분류표에서 정한 장해지금률에 해당하는 장해상태가 되었을 경우)
    : 1,000만원 x 해당 장해지급률

 

사진: Unsplash 의 Kelly Sikkema

 

중도인출, 납입중지도 가능할까?
  • 중도해지 등의 손해를 막기 위해 중도인출과 닙입 일시중지 기능을 제공
  • 가입 1개월 후부터 해지환급금의 70% 이내에서 연 12회까지 중도 인출해서 사용 가능

 

만기 보험금 예시
연령 96년생 여자 96년생 남자
월 보험료 50만 원 30만 원 50만 원 30만 원
환급률 109.1% 109.1% 109.0% 109.0%
이자 273만 원 164만원 272만원 163만 원
5년 총 납입액 30,000,000원 18,000,000원 30,000,000원 18,000,000원
만기액 32,736,831원 19,640,657원 32,727,760원 19,631,841원
연령 86년생 여자 86년생 남자
월 보험료 50만 원 30만 원 50만 원 30만 원
환급률 109.1% 109.1% 109.0% 109.0%
이자 273만원 163만원 272만 원 162만 원
5년 총 납입액 30,000,000원 18,000,000원 30,000,000원 18,000,000원
만기액 32,734,173원 19,638,175원 32,723,027원 19,627,472원
  • 나이, 성별 등 기본 정보에 따라 보험 조건이 변경될 수 있다는 안내문이 표시되어있는데, 따라서 환급률이 동일한데도 불구하고 만기액이 다르게 표시되며, 같은 연령이나 성별이 다르다는 이유로 만기액이 다르게 확인
  • 금액 확인 시 20대 초반에 가까운 여성일 수록 같은 보험료 납부 시 더 많은 만기액을 받을 수 있으며, 30대 후반에 가까운 남성과 비교했을 때 1~2만원 가까이 차이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보험 조건이 왜 달라지는지에 대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예상 만기보험금 계산 시 출력된 금액으로 확인됨

 

한화생명 2030 목돈마련 디딤돌저축보험 단점이 있다면?
  • 저축보험 상품으로 운영 회사의 보험 운영을 위한 '사업비' 명목으로 일부 금액이 차감(수수료가 발생)

 

그렇다면 해당 보험을 진행하는 것이 좋을까?

청년도약계좌와 비교했을 때 내 소득으로는 최대 70만 원을 납부하더라도 5천만 원이 되지 않는다.
물론 2030 목돈마련 디딤돌저축보험도 최대 75만 원을 납부하고, 결혼과 자녀출산 보너스를 받아야만 5천만 원이 된다. 실제로 어떤 선택이 좋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5년 내 결혼을 예정해두고 있다면, 해당 저축보험을 들어도 괜찮을 것 같다. 그리고 나처럼 중간에 전세금이나 보증금 등의 목돈이 중간중간 필요한 사람이라면 청년도약계좌보다 더 좋은 선택일 것 같다.

 

출처 : https://direct.hanwhalife.com/products/CMS00021

 

한화생명 2030 목돈마련 디딤돌저축보험 무배당

확정금리 5%와 결혼・출산보너스로 목돈마련 저축보험

direct.hanwhalife.com

 

반응형